GOEUNBIT

임신 클리닉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
임신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01산전진찰이 필요한 이유

배속에 있는 태아의 상태를 밖에서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그런 여러가지 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산전 진찰을 받습니다. 산모의 건강 체크,아기의 발육 상태 및 건강, 기형 여부 체크, 임신 중 의문 사항 질문, 임신중 분만 과정에 대한 안내로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산전진찰을 받는데 진찰 간격과 구체적인 내용, 검사 안내는 아래와 같습니다.

02산전진찰내용

  • 산모의 체중 측정
  • 소변 단백 및 당뇨 체크
  • 부종 관찰
  • 태아 심음 측정
  • 의문 사항 상담 및 주의 사항 안내
  • 정해진 시기에 혈액 검사등의 산전 검사 (아래표 참조)
  • 임신 마지막 달부터 내진 진찰

03정기진찰 간격

임신기간 임신 8개월(28주)까지 임신 9개월(36주)까지 만삭까지
진찰횟수 4주마다(한달마다) 2주간격으로 1주마다

04산전초기검사

* 좌우로 스크롤하면 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사 이름 적절한 검사 시기 검사하는 이유
일반혈액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빈혈 여부, 염증 여부를 체크하여 임신 중 빈혈 치료나 항생제 치료의 시기, 양을 결정함
매독 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기형을 초래할 수 있는 선천성 매독 증후군을 진단함
혈액형 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Rh 음성 혈액시 태아 용혈 증후군이라는 심각한 부작용 생기므로 미리 치료 필요함, 분만시 수혈 대비
간염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산모가 간염 보유시 신생아에게 간염이 전파되는 경우가 많음
간기능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임신 중 간질환 발생으로 인한 간부전으로 산모가 위험에 빠지는 가능성 체크 및 수술시 대비
소변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당뇨 및 단백뇨, 신장 기능 이상 및 방광염 여부 체크
에이즈 검사 임신초기(12주이내) 아기가 태어난 후 삶의 질이 현재까지는 문제가 됩니다.

05필요한 특수검사

* 좌우로 스크롤하면 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사 이름 적절한 검사 시기 검사하는 이유
바이러스 검사
(풍진, 톡소프라즈마, 헤르페스, 거대세포종)
임신초기 임신 초기에 감염시 기형 발생, 풍진의 경우 임신 초에 감염시 심장이나 눈의 기형등 선천성 풍진 증후군 발생 (임신 16 주 내 감염시 35%에서 기형 발생), 산모의 혈액을 채취해서 검사
기형아 검사
(태아 단백검사, 트리플 마커)
임신16주 ~ 18주까지 다운 증후군 (몽고증)이라고 해서 정신 박약 및 심장 기형, 안면 이상 등형을 초래할 수 있는 기형이나 에드워드 증후군이라고 하는 염색체 이상, 또 태아의 척추에 생기는 이상과 무뇌증을 산모의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함, 진단율은 60% 전후
임신 당뇨 검사 임신24주 ~ 28주까지 전 임산부의 2% 내지 3% 에서 발생하는 병으로 선천성 기형 및 거대아로 인한 난산, 태아 폐성숙 부전증, 저혈당, 심한 경우 태아 사망을 초래함, 검사는 탄수화물 일정량 복용 후 혈액으로 검사 함
초음파 검사 임신 분기별로 임신 초기의 착상 여부, 임신 시기 판정, 태아 발육 및 형태적인 기형, 태아의 위치 검사
태아 모니터 검사 임신 말기와 진통시에 태아의 심장 박동을 분석하여 태아의 건강을 간접적으로 검사하고 분만 중에는 진통의 강도나 간격을 체크함
염색체 검사
(융모검사, 양수검사)
필요한 경우 혈액을 이용한 검사로는 염색체 이상을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임신 10 주 내지 12 주에는 융모 검사로, 임신 15 주에서 18 주 무렵에는 양수 검사로 확정적인 진단을 함
냉검사, 암검사 필요한 경우 질염의 진단으로 태아 감염 예방, 정기적 암 검진은 임신과 관련없이 받게 됨

06태아염색체 검사가 필요한 경우

  • 약물 복용, 엑스레이 노출 등
  • 나이가 35세 이상이 되는 임신부
  • 염색체 이상이 있는 아이를 출산한 경험이 있는 임신부
  • 임신부 자신이나 남편 혹은 친척 중에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
  • 선천성 기형아를 낳았던 임신부
  • 임신부, 배우자 혹은 근친이 염색체 연관 유전질환인 혈우병, 진행성 근위축증 등의 보인자
  • 한 번 이상 연속적으로 습관성 유산이 된 경우
  • 원인 모르게 사산아를 출산했던 경우
  • 풍진항체검사, 톡소플라즈마 항체검사 이상이 있는 경우
  • 태아단백질(AFP), 융모성선 호르몬(hCG) 검사상 비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 고은빛여성병원
  • 대표자 정재현
  • 주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151
  • 전화 1577-0082, 02-478-7535
  • 사업자등록번호 212-90-54513
COPYRIGHT © 고은빛여성병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