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EUNBIT

산후 관리

출산 후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1산후영양식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출산 후 2시간이 지나면 식사가 허용됩니다. 젖을 먹이는 산모는 신생아가 잘 클 수 있도록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평소보다 조금 더 섭취해야 합니다

젖에는 수분이 많으므로 젖을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물을 덜 마시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분만할 때 피를 많이 흘린 산모는 철분 약을 한 달 정도 복용하면 됩니다. 몸이 허약해져서 어지러운 거니까 음식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고 보통 생각하지만, 이렇게 되면 빈혈 자체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비만해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신생아는 하루에 약 350Kcal가 필요합니다. 아기가 3kg 정도일 때는 하루에 300Kcal가 필요하고 10kg일 때는 하루에 약 1000Kcal가 필요합니다.

분유를 먹이는 경우는 괜찮지만 젖을 먹이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양의 칼로리 섭취가 필요합니다. 이는 식사 한 끼분의 반에 해당하지만 이만큼 식사량을 늘려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임신중에 과도하게 늘어난 체중 3∼5kg 정도가 빠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분만 후 몸의 움직임이 불편하고, 우리 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몸조리의 관념이 철저하여 활동을 많이 안하는 편이므로 평소의 음식 섭취량보다도 조금만 늘리면 됩니다.

그리고 몸조리를 하면서 과도한 몸 보신 음식을 먹으면 "임신 때 부은 살이 빠지지 않고 그대로 살이 되더라"라고들 말하듯이 비만을 가져오게 됩니다.

분만할 때 피를 많이 흘린 경우나 제왕절개 수술을 했을 경우에는 음식을 많이 먹는 것보다 빈혈 약이나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옛날 산모들은 분만 후 영양식은 고사하고 배불리 먹을 음식이 부족해서 대부분 빈혈 및 영양실조에 빠졌습니다. 따라서 몸을 빨리 회복하기 위해 분만 후 특별히 음식을 더 섭취해야 했습니다. 게다가 심한 경우에는 두 살 터울로 아이를 낳아 젖먹이가 둘일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산모의 영양 상태가 아주 많이 향상되어 빈혈이나 영양 실조가 적은 편입니다.

분만 후 젖을 먹이면 배란 장애가 일어나 월경이 없고 대개 9개월까지는 저절로 피임이 됩니다. 과거에는 보통 두세 살 터울이 많았습니다. 왜냐하면 피임 기구 및 약이 없었기 때문에 자연히 출산 이후 다시 임신이 될 수밖에 없었고 임신 기간이 10개월이므로 자연스럽게 두 살 터울이 되었던 것입니다.

아기가 이유식을 하게 되면 산모는 음식 양을 서서히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매운 것, 짠 것, 자극성 많은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분만 후 수유를 하면 배란 장애가 일어나 월경이 없고 9개월까지는 저절로 피임이 됩니다.

  • 고은빛여성병원
  • 대표자 정재현
  • 주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151
  • 전화 1577-0082, 02-478-7535
  • 사업자등록번호 212-90-54513
COPYRIGHT © 고은빛여성병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