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EUNBIT

일반 클리닉

다양한 여성 질병들에 대한 정의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1생리통

생리를 하는 여성의 52%에서 하복부나 허리에 쥐어 짜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이중 10%는 매달 하루에서 3일 정도 아무 일도 할 수 없을정도로 증세가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생리 기간 직전이나 기간 중에 두통이나 현기증, 울렁거림 등의 증상과 동반되어 나타 나기도 합니다.

02진단과 치료

뚜렷한 원인이 없이 오는 원발성 생리통과 자궁 내막증, 근종, 골반염과 같은 자궁의 질환이 있을 때 발생하는 속발성 생리통이 있으며 원발성 생리통은 대개 나이가 들고 출산을 하면서 서서히 없어집니다. 원발성 생리통이 생기는 이유로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하는 특수 물질이 지나치게 늘어 나기 때문이라고 하기도 하고 자궁이 비정상으로 수축이 되기 때문이라거나 호르몬의 불균형, 정서적으로 장애가 있을 때, 자궁 후굴등 여러가지 학설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특별한 획기적인 치료법이 없습니다. 다만 어떤 원인이 있어서 이차적으로 생기는 속발성 생리통은 그 원인을 제거하면 자연히 치료가 되는 데 이런 것으로는 자궁 내막 조직이 골반 내에 비정상적으로 붙어서 자라나는 자궁 내막증이라는 병이 있습니다. 또한 유착(골반 내 조직이 개복 수술 후유증으로 서로 들러 붙는 현상)이 생기거나 자궁이나 골반에 염증이 생겼을 때, 루프를 삽입한 사람이나 자궁에 근종 또는 선종이라고 하는 혹이 생겼을 때도 2차적으로 생리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03검사

기본적 진찰 (내진)을 통해서 자궁에 혹(근종)이 있는 지 자궁이 뒤로 꺽어져 있는 후굴된 상태의 자궁 인지, 염증 가능성이 있는 지 진찰해 보고 염증의 의심이 들 때는 냉 검사나 균검사 또는 혈액 검사를 통해서 자궁 경부염이나 골반염 유무를 검사해 봅니다. 그리고 자궁 근종, 선종등을 초음파 관찰을 통하여 확인해 보고 내막종 (내막이 골반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자라서 혹처럼 된 경우)은 없는 지 확인 해 봅니다. 다른 검사로 전혀 원인을 찾을 수 없을 때 최종적으로 내막 증식증이나 내막종이 있는 지 골반 내 유착이 있는 지 등을 확인 해 보기 위하여 복강경 검사를 고려해 봅니다. 이상의 검사에서 원인이 발견되면 원인을 찾아서 치료하고 원인이 발견 되지 않으면 원발성 생리통으로 진단하고 다음의 치료법을 고려해 보게 됩니다.

04치료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하는 특수 물질의 과도한 분비로 인해서 월경통이 오는 것으로 대부분의 학자들이 추정하고 있어서 그 물질을 차단하는 약제로 증세의 호전을 볼 수 있는 데 아스피린과 같은 소염 진통제 류를 생리 시작 며칠 전부터 복용하는 방법이나 폰탈이라는 약제를 생리 시작과 동시에 쓰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또는 배란이 될 때 보통 위의 특수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므로 배란을 억제하는 피임약을 복용하는 방법이 피임을 겸해서 하는 여성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그외에 자궁 내막증이나 골반내 유착과 같은 뚜렷한 원인이 있는 지 진단 목적을 겸해서 복강경 검사를 시행하고 원인이 발견 되면 바로 복강경 하에서 비정상 조직을 전기로 태우는 치료(전기 소작술)나 레이져를 이용하여 파괴하는 방법이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을 때 고려하게 됩니다. 기타 심한 통증과 함께 정서적인 불안감이 동반될 때는 진정제가 쓰이기도 하며 적당한 운동이나 취미 생활도 생리통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복부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 자극법 으로 효과를 보는 경우도 30% 쯤 됩니다. 그리고 행동 요법이라고 해서 여성이 생리가 오게 되면서 통증도 심해지고 생활도 불편해 질 것이라고 지레 겁먹고 공포감을 갖게 되면 실제로 통증이 더 심하게 되므로 이런 부정적 생각의 굴레를 벗어나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져서 통증을 적게 하는 방법이 쓰이기도 하고 우울증이나 성기능 장애와 겹쳐서 생리통이 나타날 경우 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 고은빛여성병원
  • 대표자 정재현
  • 주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151
  • 전화 1577-0082, 02-478-7535
  • 사업자등록번호 212-90-54513
COPYRIGHT © 고은빛여성병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