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EUNBIT

부인종양센터

다양한 여성 종양들에 대한 정의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1난소종양이란?

0~44세 사이의 가임 연령기에 생기는 난소종양은 80~90%가 양성입니다.
그러나 진찰 및 초음파 검사, 혈액검사 등을 통해 악성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조사해야 하는데, 폐경 이전 여성에게서 발견된 직경이 6~8cm 이하인 물혹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관찰해도 좋습니다.
만약 계속적인 관찰을 통해서 없어지지 않거나 더 커지는 경우에는 수술하는 것이 좋으며, 8cm이하의 작은 크기라 하더라도 초음파 검사결과 고형 성분이 보이거나 낭과 낭을 가르는 격막 등이 있어 단순 낭종이 아닌 경우에는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폐경 이후의 여성에게서 발견된 난소난종은 난소암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수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02난소종양의 분류

  • 기능성 낭종 (Functional cyst)
  • 염증 및 감염성 낭종(난소 난관 고름집, Tubo-ovarina abscess)
  •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낭종 (Serous or Mucinous cyst)
  • 기형종 (Teratoma)
  • 자궁내막종 (Endometrioma)
  • 생식세포종양 (Germ cell tumor)
  • 악성 난소 종양 (Ovarian cacner)
  • 전이성 난소 종양 (Metastatic ovarian tumor)
  • 미분류 난소 종양 (Unclassified ovarian tumor)

03자궁외 임신이란?

정상적인 임신에서는 정자와 난자가 난관의 중간부위에서 만나 수정이 되며 수정란은 난관을 통과하여 수정된 지 1주 일이 지나면 자궁 내막에 착상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수정란이 자궁 내막이 아닌 다른 곳에 착상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를 자궁외 임신이라고 합니다.

자궁 외 임신의 95% 이상은 난관 임신으로 수정란이 난관에 착상하여 임신이 지속 될 경우 난관이 파열되면서 복강 내 출혈을 유발합니다. 나머지 5%는 난소, 자궁각, 자궁 경부, 복강내 임신 등이 있습니다.

04자궁외 임신의 원인

자궁 외 임신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난관이 좁아지거나 난관의 운동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만성 난관염증이나 골반 내 염증성 질환을 앓았던 경우에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소파수술이나 산후의 감염, 자궁내막증 등에 의해 난관이 주위 조직과 유착을 일으킨 경우에 많이 발생하며, 또한 선천성 자궁 난관 기형이 있거나 자궁 내 피임 장치(루프)를 사용한 사람도 자궁외 임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05자궁외 임신의 증상

수정란이 좁은 난관에 착상하게 되면 태아가 자라남에 따라 난관이 팽창하게 되며 임신 5~6주가 지나면 임신부는 하복부와 골반에 심한 통증을 느끼고 때에 따라 소량의 질출혈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태반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태반 조직 이 얇은 난관 내벽을 약화시켜 출혈을 일으키고 나중에는 압력을 이기지 못해 난관이 파열됩니다.

난관 파열은 임신 6~8주 이후에 많이 발생하는데, 난관이 파열되면 하복부에 갑작스러운 심한 통증이 나타나면서 복강 내 출혈이 발생하기 때문에 얼굴이 창백해지고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며 심한 경우에는 급성 쇼크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복통이나 출혈 등의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자각 증상이 거의 없이 유산되거나 난관이 파열된 후에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임신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고 임신 초기부터 초음파 검사를 하기 때문에 난관이 파열되기 전에 자궁외 임신을 진단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06자궁외 임신의 치료

난관 임신의 경우 난관이 파열되더라도 즉각적으로 처치를 하면 임신부에게는 크게 위험을 초래하지 않기도 하지만 처치가 늦어지면 대량 출혈을 유발하여 위험한 상황에 빠지기도 합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외 임신으로 진단되거나 복강 내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출혈이 있는 난관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거나, 나팔관은 보존하면서 수정란 부위만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또한 난관이 파열되었거나 임신 조직이 너무 커서 난관을 보존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한 쪽 난관과 양쪽 난소가 남아 있기 때문에 향후 임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고은빛여성병원
  • 대표자 정재현
  • 주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151
  • 전화 1577-0082, 02-478-7535
  • 사업자등록번호 212-90-54513
COPYRIGHT © 고은빛여성병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