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EUNBIT

부인종양센터

다양한 여성 종양들에 대한 정의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1자궁경부암이란?

흔히 말하는 자궁암은 자궁경부암을 말하는 것이며, 이것은 자궁경부, 즉 자궁문에서부터 발생되기 시작합니다. 자궁문은 질을 통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자궁암검사가 매우 쉽고 자궁경부의 정상세포는 자궁암세포로 변하기 전에 이형세포라는 중간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궁암검사란 이 세포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해서, 암세포로 진행되어 가는지의 세포변화 여부를 판정하는 것입니다. 이형세포가 발견되더라도, 비교적 느린 속도로 암세포로 변화되므로, 이형세포가 발견되었을 경우에 바로 적절한 치료를 하면, 암 발생의 가능성은 거의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궁암이 제일 많은 나이는 40-50세 군으로, 나이가 증가하면서 비교적 그 발생 빈도는 증가합니다. 한편 자궁암 0기는 자궁경부세포의 가장 바깥쪽 세포에만 국한된 극히 초기의 자궁암으로, 25-40세의 젊은 층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02자궁경부암의 원인

자궁경부암의 발생 빈도가 높은 사람으로는, 우선 미혼보다는 기혼여성에게서 많고, 출산 경험이 많을수록 많은 발생률을 보입니다. 즉 성생활이나 출산력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며, 성교의 파트너가 많았던 사람이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첫 성교의 나이가 어릴수록, 경제 상태가 저소득일수록 발병률이 높고, 인종에 따라서도 그 발생률에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성접촉으로 인한 전염 질병, 즉 성병을 가진 여성들에게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의 발생요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03자궁경부암의 증상

자궁경부의 정상세포가 이형세포로 변하고 암세포로 변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자각 증상이나 징후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떤 증상이 나타난 후 자궁암의 진단을 받은 경우라면, 자궁암이 꽤 진행된 후일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의 진단은 정기적으로 약 6개월에서 1년에 한번 씩 자궁암검사인 세포진 검사를 받아야 하며, 질 확대경검사가 필요한 경우 자궁경부의 조직검사도 받게 됩니다.

자궁암의 초기 증상으로는, 자궁경부 발생부위의 표면이 육안적으로 과립상이거나 약간 융기되어 있으며, 성관계 등 약간의 접촉에도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 여성에게도 흔히 있는 자궁경부의 염증으로 인한 소견과 육안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궁경부가 헐어있는 소견이 보이면, 자궁암 세포진 검사나 조직검사가 필수적입니다.

04자궁경부암의 치료

자궁경부암은 그 진행된 정도에 따라서, 0기, 1기, 2기, 3기, 4기로 나눕니다. 암세포 발생 전의 이형성증(전암병변)도 3단계로 나누어서 그 진행 정도를 표현하는데, 이런 이형성증이나 자궁암 0기인 때에는, 자궁을 보존하여 임신을 해야 할 젊은 여성의 경우, 국소적인 파괴요법, 즉 자궁경부의 전기소작법이나 냉동요법, 레이저치료법 등으로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으며, 간단한 수술요법으로 원추절제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심을 하기 위해서는, 자궁을 꼭 보존해야 할 형편이 아닌 경우 전자궁적출술, 즉 자궁을 들어내는 수술을 하게 되며, 자궁을 들어내더라도 성생활이나 기타 일상생활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자궁암이 0기를 지나 1기 이상 되는 것을 침윤성 자궁경부암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광범위한 자궁경부암 근치술을 시행하며, 만일 암세포가 자궁방 결합조직이나 골반 임파절 등에까지 전이되어 퍼진 경우에는, 수술만으로는 완전한 치료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방사선치료 또는 함암제 치료를 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치료방법을 병용하게 됩니다.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바이러스로 알려졌기 때문에 백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 암이 되었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자궁경부암을 70~90% 까지 예방가능하며, 성경험이 없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험이 있다고 하더라도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무엇보다도 정기적인 자궁경부암검사를 철저히 받는다면, 조기에 발견 및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기 검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고은빛여성병원
  • 대표자 정재현
  • 주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151
  • 전화 1577-0082, 02-478-7535
  • 사업자등록번호 212-90-54513
COPYRIGHT © 고은빛여성병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