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EUNBIT

신생아 건강

소중한 우리 아기의 건강상태 확인을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1신생아 황달

신생아황달은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되는데 혈중 빌리루빈 이라는 물질이 피부에 침착되어 피부색깔이 노랗게 변합니다. 갓 태어난 아기의 적혈구는 성인 적혈구에 비해 수명이 짧아 빌리루빈이 생성이 증가하고 신생아의 간이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황달에 잘 걸리게 됩니다. 신생아에서 흔히 보는 황달을 생리적 황달이라 부르며 심각한 현상은 아니지만 아기가 심각한 병이 있을 때, 그 증상의 하나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 심하면 아기의 뇌에 심각한 손상을 주어 성장하는데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어요.

02신생아황달 검사

일단 신생아황달이 의심되면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큰 병원에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검사가 가능합니다. 아기의 뒷발꿈치를 란셋으로 가볍게 찔러 나오는 소량의 혈액을 가는 관에 채취하여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합니다. 황달이 심하여 뇌손상의 위험이 있거나 또는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될 때는 적극적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03치료방법

황달이라고 진단된 아기는 광선치료를 합니다. 광선치료를 할지 교환수혈을 할지는 아기의 상태와 혈중 빌리루빈 수치로 결정되는데 건강한 만삭아의 경우, 대개 혈중 빌리루빈이 15-18mg/dL 정도에서 광선치료를 하고 교환수혈은 아기의 상태에 따라 20-25mg/dL이상에서 하게됩니다.

04생리적황달 & 심각한 황달

아기가 생후 2~3일에 얼굴부터 노래지기 시작한다면 생리적 황달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부분 치료를 하지 않으며 단지 그 경과만을 관찰하게 되는데, 대개 1주일 이내에 사라지며, 물론 아기에게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는 황달도 때로는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요. 생리적 황달을 제외한 대부분의 황달에 대해서는 전문의의 진찰과 원인질환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05모유황달

모유수유 도중에 황달이 생기고 점점 심해진다고 하여 반드시 모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유황달은 대개 생후 4~7일에 시작하며 수유를 계속할 경우, 대략 2~3주 정도에 최고로 심해졌다가 이후2~3개월에 걸쳐 점차 좋아집니다. 아직까지 모유황달은 뇌손상을 유발한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황달 때문에 반드시 중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증세가 심각할 경우 1~2일 정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모유황달은 수유를 중단하면 증세가 급격히 호전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후 다시 모유수유를 시작하여도 황달이 다시 심해지지는 않습니다. 모유수유 아기 중 생후 5일 내에 조기황달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조기 모유황달이라 하며, 앞서 설명한 후기 모유황달과는 구별해야 합니다. 조기 모유황달은 모유수유량이 충분치 않아 탈수가 오거나 칼로리 부족 때문에 생깁니다. 조기 모유황달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찍, 자주 수유를 하여 하루 8~10회 이상 모유수유를 하도록 해야 합니다. 엄마와 아기가 같이 잠을 자게 자면서 밤에도 수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모유 이외의 포도당이나 물은 되도록 먹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고은빛여성병원
  • 대표자 정재현
  • 주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151
  • 전화 1577-0082, 02-478-7535
  • 사업자등록번호 212-90-54513
COPYRIGHT © 고은빛여성병원. ALL RIGHTS RESERVED.